Django
-
[Django] 1Hz 실시간 입력 JSON 형식 자료 대시보드로 표출하기Django 2024. 3. 11. 10:56
실생활에서 (준)실시간으로 자료를 수집 후 처리하여 웹에 표출 및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 꽤 있다. 뚜벅이인 내가 가장 자주 보는 케이스는 대중교통의 현재 위치 및 도착 예정 시간이다. 해당 시스템들의 기본적인 원리가 무엇일까? 자료를 수집하는 서버쪽과 이를 표출하는 클라이언트쪽, 즉 서버(Server) - 클라이언트(Client) 구조를 생각해볼 수 있다. 실제 대중교통의 경우 1Hz 간격으로 자료가 입력되는지 모르겠으나, 내가 참여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개발 환경에서는 생산 주기가 1Hz이다. 위 서버-클라이언트 구조에 대한 다이어그램을 간략하게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센서에서 수집된 1Hz 주기 데이터를 서버로 패킷을 보낸다. 2. 서버는 패킷을 parsing하여 DB에 저장한다. 3. 클라이언..
-
[Django] 임베디드 리눅스 환경에서 Python 및 Django 활용하기Django 2024. 3. 8. 16:08
지난 1년간 Django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2가지 웹서비스를 만들었다. 1개는 회사 내부용(사내망 IP로 접속) 서비스이며, 나머지 1개는 정부 프로젝트로 구축하였다. 사내 서비스야 그럴 수 있지만, 정부 프로젝트인데 왜 Java/Spring이 아니라 Python/Django 조합일까?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를 따라야 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한 것이 아닌, 새로운 임베디드 시스템을 만드는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웹서비스를 개발했기 때문이다.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이란? 기계나 기타 제어가 필요한 시스템에 대해 제어를 위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전체 장치의 일부분으로 구성되며 제어가 필요한 시스템을 위한 두뇌 역할 전자 하드웨어와 기계 부분을 포함하는 전체 장치의 일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