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Python] 자바 아카이브(JAR) 파일을 Python에서 호출하여 JSON 자료 주고받기Python 2024. 3. 21. 11:38
최근에 프로젝트를 수행하던 중 Java로 작성된 소스코드를 Python에서 호출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보고 기능을 구현하였다. 흔한 케이스는 아니지만, 또 없는 케이스는 아닌 것 같아 정리했던 내용을 공유해보고자 한다. Yocto Project 3.2.1 Uboot 2020.04 Linux Kernel 5.10.9 apt 1.8.2.1 bash 5.0 dpkg 1.2.0 Python 3.8.5 pip 20.0.2 OpenJDK 8 개발환경은 나의 의지와 상관없이 Yocto Project 버전에 따라 하위 항목을 모두 맞추게 되어있다. 다른 것은 볼 필요 없고 Python 3.8.5와 OpenJDK 8만 보면 될 듯하다. Spring 프레임워크를 다룰 때 보통 OpenJDK 21를 사용하곤 했었는데, 8을..
-
[정보처리기사] 2024년 기사 1회 필기 합격 및 공부 방향 공유정보처리기사 2024. 3. 13. 16:51
전공자/비전공자 상관없이 매년 많은 사람이 응시하는 정보처리기사. 응시 인원만 보면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증가하다가 2010년대 후반까지 감소, 다시 최근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00년대 초중반엔 컴공을 나왔으면 응당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이 있는게 당연하던 시절이라 응시 인원 자체가 꽤 높았다. 작년(2023년) 기준 6만 명이 필기에 응시했는데, 2005년엔 2.5배에 달하는 무려 15만 명이 응시했다고 한다. 시대에 따라 개발자에게 요구하는 기술, 자격이 천차만별이고 최근엔 더더욱 정보처리기사 쓰임새가 줄어들어 그런 것 아닐까? (나도 엔지니어링 분야 중 정보처리가 회사에서 많이 쓰일 줄 알았지만, 실제는 정보통신만 쓰이는 상황이라 굳이 따야되나 싶다가도 비전공자 출신으로 최소한 자격 증명..
-
[Django] 1Hz 실시간 입력 JSON 형식 자료 대시보드로 표출하기Django 2024. 3. 11. 10:56
실생활에서 (준)실시간으로 자료를 수집 후 처리하여 웹에 표출 및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 꽤 있다. 뚜벅이인 내가 가장 자주 보는 케이스는 대중교통의 현재 위치 및 도착 예정 시간이다. 해당 시스템들의 기본적인 원리가 무엇일까? 자료를 수집하는 서버쪽과 이를 표출하는 클라이언트쪽, 즉 서버(Server) - 클라이언트(Client) 구조를 생각해볼 수 있다. 실제 대중교통의 경우 1Hz 간격으로 자료가 입력되는지 모르겠으나, 내가 참여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개발 환경에서는 생산 주기가 1Hz이다. 위 서버-클라이언트 구조에 대한 다이어그램을 간략하게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센서에서 수집된 1Hz 주기 데이터를 서버로 패킷을 보낸다. 2. 서버는 패킷을 parsing하여 DB에 저장한다. 3. 클라이언..
-
[Django] 임베디드 리눅스 환경에서 Python 및 Django 활용하기Django 2024. 3. 8. 16:08
지난 1년간 Django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2가지 웹서비스를 만들었다. 1개는 회사 내부용(사내망 IP로 접속) 서비스이며, 나머지 1개는 정부 프로젝트로 구축하였다. 사내 서비스야 그럴 수 있지만, 정부 프로젝트인데 왜 Java/Spring이 아니라 Python/Django 조합일까?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를 따라야 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한 것이 아닌, 새로운 임베디드 시스템을 만드는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웹서비스를 개발했기 때문이다.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이란? 기계나 기타 제어가 필요한 시스템에 대해 제어를 위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전체 장치의 일부분으로 구성되며 제어가 필요한 시스템을 위한 두뇌 역할 전자 하드웨어와 기계 부분을 포함하는 전체 장치의 일부로 ..
-
2년이 넘어 다시 작성하는 글생각 2024. 1. 30. 14:18
티스토리 블로그를 만들어 기술관련 내용을 다루겠다고 생각한 지 어언 2년이 넘었다. 첫 글이자 마지막 글이 2021년 12월 말에 쓴 글이니 만 2년 넘게 방치되고 있던 공간이다. 여러 이슈가 존재하여 운영해볼 생각을 못하다 직무적으로 이제는 관리할 시기가 되어 다시 작성을 해본다. '중꺾마'라고 했던가! 지금 회사에 22년 1월 3일에 입사하여 현재 글을 작성하는 24년 1월까지 어떠한 길을 걸어왔는 지 잠시 회고해보고자 한다. 소개 해양업계 S/W 엔지니어(웹개발, 윈도우 프로그래밍) IT 인프라 엔지니어 해양학 박사 수료(졸업을 위해 SCI급 논문 작성 중) 무슨 소개가 더 필요할 지 모르겠다. 대학교에서 해양학과를 졸업하고 대찬 꿈을 갖고 교수가 되기 위해 석박사 통합과정을 입학하였지만, 너무나 ..
-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나공 요약 1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 요구사항 확인정보처리기사 2021. 12. 6. 23:58
개발과 관련한 소스는 보통 깃허브를 통해 관리하다 처음으로 작성하는 티스토리 글. 개발자는 아니고, 해양학 전공자인 현업이기에 공부하면서 기록용으로 하나둘씩 글로 써보기로 하였다. 첫 시작은 퇴사 후 가장 먼저 공부하고 싶었던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준비하며 매일 공부한 내용을 조금씩 남겨보고, 시간이 된다면 DB 쪽도 다뤄볼 까 생각중이다. 정보처리기사 필기와 실기는 시험 영역이 같으며, 총 5과목으로 구성되어있다. 소프트웨어 설계, 소프트웨어 개발, 데이터베이스 구축,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로 되어 있으며, [1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 [요구사항 확인]부터 다뤄보도록 하겠다. 출처: 2022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길벗출판사 1.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